본문 바로가기

정원에서-흩날리는 선물

흙의 학교

1-흙은 무엇으로 만들어져 있나요?

방선균은 숲의 흙을 만드는데 없어서는 안될 생물
흙냄새의 근원은 방선균이라는 박테리아의 일종때문
방선균은 곰팡이 모양의 미생물로 실 상태의 균사가 방사상으로 뻗어있는 세균

 

2-한 줌의 흙속에는 몇마리의 미생물이 있나요?


3-흙은 더럽고 지저분하다?

머릿속에서 흙은 지저분한 것이라고 규정을 하고
의식적으로 흙을 멀리하는 생활을 하는것은 뭔가 잘못되었다는 이야기를 저자는 말합니다

 

4-좋은 흙과 나쁜 흙을 구별하는 법
좋은 흙은 냄새가 다르다

5-잘 만들어진 비료에서는 악취가 나지 않는다
6-잡초는 언제부터 방해물 취급을 받았을까요?
7-사과나무를 지키는 신, 미생물


8-흙의 온도를 측정하는 이유

흙의 온도를 재는것은 바로 흙의 생명을 확인하는 작업
산의 흙은 50센티미터 깊이까지 파내려가도 지표면과의 온도치이가 기껏해야 1도 2도정도에 불과
밭의 흙은 10센티미터만 내려가도 6도에서 8도까지 온도가 내려가는 밭도 있다
산의 흙이 따뜻한것은 미생물들이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기때문이다

 

9-산민들레는 왜 밭의 민들레보다 큰가요?

풀은 경쟁자일 뿐만아니라 함께 싸우면서 크는 동료이기도 하다는 것을 깨달았다

10-산의 흙이 좋다면 왜 그 흙으로 재배하지 않나요?

산의 흙속에는 엄청난 양의 미생물이 살고 있다
비료의 3요소 질소 인산 칼륨
비료의 양이 많이 포함되어 있다는 의미로 비옥하다는 단어를 사용한다면 산의 흙이나 밭의 흙은 그만큼 비옥하지 않다는 의미가 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산의 흙은 많은 나무들을 튼튼하게 키우고 있습니다

 

11-비료는 식물의 성장에 꼭 필요한가요?
자연의 초목은 비료 따위는 단 한 줌도 주지 않아도 건강하게 무성하게 자란다

12-생명을 품고 기르는 어머니, 흙

흙의 풍요로움은 비료에서 기인하는게 아니라 흙에서 활동하고 있는미생물과 식물과의 관계에서 결정된다
흙속 박테리아는 식물이 살아가는데 꼭 필요한 중요한 영양분을 나눠주기까지 한다
식물은 그 답례로 광합성으로 만든 탄수화물을 흙 속 세균에게 제공한다
뿌리에 사는 균근균은 공기중의 질소를
흙속의 인산을 모아 식물에게 보내는 거의 모든 육상식물의 뿌리에 공생하는 수지상균근균도 있다
식물이 건조한 상황을 잘 견딜수 있도록 돕기도 하고 병에 잘 걸리지 않도록 만들어 주는 작용도 한다
이런 토양세균의 존재를 무시하고 분석하여 질소분이 많다거나 인산분이 적다거나 말하는 것은 별 의미가 없다고 주장합니다

 

13-김매기를 하지 않으면 밭의 풀은 어떻게 변하나요?
김매기를 그만둔 후 자라는 풀들의 종류가 해마다 달라지는 일이 몇년(적어도 7번) 지속된후 어깨높이의 풀은 사라지고

풀의 종류와 양은 많지만 드라마틱한 변화는 없다

14-밭에 콩을 심는 이유

5년동안(저자는 3년을 권장한다) 잡초를 대체하기 위해 또 뿌리박테리아 효과를 노리기 위해 콩을 심었다
5년후 뿌리혹은 거의 붙어 있지 않았다
흙의 환경이 정리되면 콩의 뿌리박테리아에 의지하지 않아도 원래부터 있던 방선균등의 작용으로 질소가 공급되도록 움직인다
흙속의 질소분량이 적으면 보충하고 충분해지면 그 행동을 멈춥니다
자연은 쓸데없는짓을 절대 하지 않는다
나무에서 80cm 십자방향의 4군데 3년동안 콩을 심는다

 

15-눈에 보이지 않는 흙 밑의 세상을 보는 방법
자라고 있는 풀들의 차이는 그곳에서 서식하고 있는 흙속 세균의 차이 풀은 존재자체로 우리 눈에는 보이지 않는

흙속 세균모습을 우리에게 알려주고 있다

16-흙의 성격을 파악한다는 것
장소에 따라 차이를 파악하는 것이 원예의 출발점

17-벌레의 마음을 읽는 방법
18-과일 무농약 재배가 채소보다 어려운 이유
19-그냥 자연에 맡겨버려서는 안 되는 농업
20-우리 사과밭에 병이 퍼지지 않는 이유

21-얌전한 병원균의 의미
사과의 내성균이 활발하게 활동하게 된 덕분에 병원균이 얌전한 상재균처럼 되어버린것

22-생태계를 이용하는 농업
밭에 자연의 생태계 활동 시스템을 구축한다
병충해는 자연의 마음을 나타내주는 지표

23-자연은 게으름뱅이?

자연은 기본적으로 게으름뱅이
자연은 쓸데없는 짓은 절대 하지 않는다 비료를 주지않는 이유는 뿌리끝이 잘 자라지 못하기 때문
필요한 양분을 비료를 통해 쉽게 얻기때문에 뿌리를 길게 뻗을 필요가 없어지는것

 

24-벌레는 어떤 얼굴을 하고 있을까요?

인간은 무리짓고 구분짓는 특성이 있다
그러는 편이 세상을 이해하기 쉽고 행동방침을 세우는데 편리하기 때문일까
저자는 사과밭도 그런 이치로 해충이나 병원균은 박멸시키는 일을 성실히 이행하고 매년 눈부신 열매를 선사해주고 그 답례로 비료를 듬뿍 주었다
의문과 회의로 농약을 사용하지 않으니 대량으로 생기는 해충과 맞닥뜨려야 했다

 

25-맛 있는 풀, 맛 없는 풀


26-적을 만들지 않는 농업

생태계란 살아가는 모든것들이 그물망처럼 복잡하게 연결되어 있는 생명전체의 웅직임 시스템이다
인간의 편의대로 해충 익충으로 구분짓는 단어에 휘둘려서는 안된다 자연에는 선과 악도 존재하지 않는다 자신에게 주어진 필사의 시간을 생태계속에서 역할을 수행하며 살아갈뿐이다
벌레가 대량으로 발생하면 그럴만한 이유가 있기 때문이다
원인이 아니라 결과이다
나무가 약해졌기때문에 병충해가 대량발생한 것이다
병충해와 싸우는것을 그만두었을때 앞으로 무엇을 해야할지 알게 되었다는 사실
나무는 긴 침묵의 시간끝에 다시 가련한 꽃을 피워준것이라고 생각한다

 

27-한 그루의 나무에는 몇 개 정도의 사과가 열리나요?
28-농부가 가장 좋아하는 계절


29-영양이 남아도니까 벌레가 꼬이는 것

흙속에 질소가 얼마나 있는지 알지 못하면서 매년 질소비료를 준다면 질소과잉상태가 된다
진딧물이 끼는것은 여분의 영양분을 먹으러 오는 것이다
잔딧물을 죽이기 위해서 또 농약을 쓰는것이다
진딧물이 발생한다면 일정기간 비료를 주지않을 것을 권장한다

 

30-대초원과 박테리아

연작장해
제초제를 사용해 잡초를 없애다보면 토양세균도 단일한 균만 계속 늘어나게 되어 연작장해를 일으키는원인이 된다
흙을 흙으로 보지 않는 현상으로 토양실균을 하는데
토양에 있는 모든 박테리아가 다 죽어버린다
연작장해가 일어나지 않는 이유는 여러가지 잡초가 자라 흙속의 미생물이 단일화 되지않기 때문이다
잡초는 연작장해를 막기 위해서라도 반드시 필요한 존재이다

 

31-왜 겨울에는 톱이 잘 들까요?

2월에 해야 할 중요한 일-가지치기
나무수액의 타닌이 톱에 묻어 톱날을 무디게 하기 때문에
수액의 이동이 없는 성장이 멈추는 겨울에 가지치기가 수월하다

 

32-잎맥과 가지의 관계
대체로 나무의 가지형태와 잎맥의 형태는 같은 형태를 하고있다 잎맥의 형태대로 가지치기를 한다

33-기적의 사과’는 마당에서도 키울 수 있을까요?

<사과나무 키우기>
1-자가수분이 안되기에 두그루를 최소 3미터간격으로 심는다
2-3년간 십자모양으로 1미터거리에 콩을 함께 심는다
3-뿌리끝이 약해졌다면 지상부가지 끝부분을 잘라 뿌리의 끝부분의 부담을 덜어준다 (모든 나무에 해당되는 이야기)
4-물은 될 수 있으면 적게
5-2월경에 가지치기 (잎맥을보고 방향결정)
6-묘목심는 구멍을 깊게 파면 안되는 이유-지면에 접한 줄기밑 부분에서새로운 뿌리가 나와 우세해져서 활동했던 뿌리가 활동을 멈추어버린다
7-심하게 건조해져서 나무가 약해졌다면 몰라도 기본적으로 물은 거의 줄 필요가 없다
이유-흙속 세균에는 호기성균과 혐기성균이 있다
산소를 좋아하는 세균과 좋아하지 않는 세균
물이 잘 빠지지않는 장소에 증식하는 혐기성세균은 부패의 원인이 되거나 독을 생산하는 것들이 많아 작물재배하거나 생활하기 위해서는 멀리하는 것이 좋다

 

34-가지를 자르면 나무가 건강해진다?
35-벌레는 손으로 잡자


36-식초를 살포하는 법

1-4월경 잎이나오기 전 50~80배
2-사과꽃 봉오리 나올 즈음 바람없는 날 아침6시 검은별무늬병 방지 200배
3-꽃이 피기 시작하면 기본적으로 사과나무는 건드리지 않는 것이 좋다
4-꽃잎 떨어지고 대략2주후 그후는 보름에 한번 150~200배

 

37-자연을 ‘거꾸로’ 보자
나무가 약해졌다면 먼저 뿌리가 어떻게 되어있는지 생각해주세요

38-몇 종류의 사과를 재배하고 있나요?
39-농부가 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40-한 그루 한 그루 개성이 넘치는 사과나무
진정한 의미에서 자연과 함께하기 위해서는1대1로 본연의 마음과 몸으로 자연을 마주하자

41-사과상자와 학교
42-사과는 얼마만큼 자랄 수 있나요?
43-싹이 나기 전에 나오는 것
뿌리는 가장 먼저 나올 뿐 아니라 다른 것보다 먼저 성장한다

44-자연의 시간을 산다는 것

나무는 자신의 밑에서 자라는 잡초에게 조금이라도 빛이 전달되게하기 위해서 스스로 가지를 떨어뜨리는거 아닐까요
잡초가 자라야 흙속 세균이 늘어나고 자연적인 에어컨역할을 하니까요
벌레나 풀들을 관찰하면서 그런것들을 생각하는 시간은 소중한 시간입니다
인간도 자연의 일부니까요

 

흙의 학교-농부가 들려주는 쉽고 재미있는 흙 이야기-
기무라 아키노리+이시카와 다쿠지 

책을 읽고 정리해보았다 
책을 덮고 정리한 내용을 다시 읽고 적용할 사항을 생각해보자

 

 

 

 

Gettyimages  출처

 

 

 

'정원에서-흩날리는 선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불두화  (2) 2020.05.13
텃밭에서 쑥활용  (4) 2020.05.10
비오는날  (0) 2020.05.03
마당에서  (2) 2020.05.02
새로운 언어 새로운 사고방식-잡초에 관하여-게으른 정원  (2) 2020.05.01

맨 위로